이사를 가거나 새로운 지역에 정착할 때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수도요금이죠? 어디서 조회하는지, 할인 혜택은 어떻게 신청하는지 막막하셨을 텐데요. 이번 글에서는 전국 주요 광역시별로 상수도요금 조회와 감면 신청 방법을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. 각 지역마다 다른 시스템과 혜택을 미리 파악해두시면 불필요한 시간 낭비 없이 바로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
서울특별시
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나 카카오톡 '서울아리수본부' 채널에서 고객번호로 요금을 조회할 수 있으며, 전화는 다산콜센터 120번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.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, 다자녀가구 감면은 관할 주민센터나 수도사업소에서 신청하고, 전자고지와 자동납부를 함께 신청하면 최초 1회 3,000원 추가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부산광역시
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고객번호나 전자수용가번호로 요금을 조회할 수 있으며, 고지서를 분실한 경우에도 온라인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. 자동납부와 전자고지 할인, 기초생활수급자 감면, 옥내누수 감면 등은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민원신청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, 사회복지시설과 학교·유치원에 대한 별도 감면 제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.
대구광역시
대구 상수도사업본부 사이버민원센터에서 고객번호와 수용가명을 입력하여 요금을 조회할 수 있고, 주소로 고객번호 검색도 가능하며 전체내역, 수납내역, 미수납내역을 구분하여 상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, 국가유공자, 다자녀 가구 등의 감면 신청은 상하수도사업소에 방문하여 신청하며, 옥내누수 감면의 경우 누수현장 사진과 공사 영수증 등의 증빙자료가 필요합니다.
인천광역시
인천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사이버민원센터에서 주소로 고객번호를 검색한 후 수용가명을 입력하여 조회할 수 있으며, 당월분 요금은 전월 납기마감일 기준 5일(영업일) 이후부터 확인 가능합니다. 18세 미만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 가정의 경우 하수도 사용료 감면을 받을 수 있으며, 다자녀감면신청서와 주민등록등본 등을 구비하여 온라인이나 방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광주광역시
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스마트고객민원 시스템에서 고객번호로 요금 조회가 가능하며, 전화는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고객센터 062-121이나 각 권역별 사업소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. 장애정도가 심한 등록 장애인이나 3자녀 이상 양육 가정의 감면은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민원신청하거나 거주 관내 관할 지역사업소로 전화신청이 가능합니다.
대전광역시
대전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사이버 고객센터에서 전자수용가번호로 조회하거나 ARS 042-720-9002를 통해 실시간 전화조회가 가능하며, 위택스나 금융결제원 지로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조회도 됩니다. 자동납부 신청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, 금융기관이나 지역사업소에서 직접 신청하거나 온라인 지로 사이트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, 하나은행과의 업무 계약으로 전화납부 시스템도 이용 가능합니다.
울산광역시
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의 고객서비스센터에서 우리집요금 메뉴를 통해 요금납부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, 이사전 요금계산 서비스와 상수도요금계산 시뮬레이션도 제공합니다. 수도요금 감면제도는 상수도사업본부 고객서비스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, 온라인 민원신청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각종 감면 혜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세종특별자치시
세종시청 상하수도 요금 조회 납부 사이버창구를 통해 온라인으로 요금을 조회할 수 있으며, 최신 시스템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. 기초생활수급자, 다자녀 가구, 장애인 등에 대한 감면은 세종시청 상하수도 담당부서나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, 신도시 특성상 전자고지와 자동납부 할인 혜택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.
각 지역마다 조회 시스템과 감면 신청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, 대부분 온라인과 전화, 방문 신청이 모두 가능합니다. 이사를 계획 중이시거나 현재 거주지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고 계셨다면, 해당 지역 상수도사업본부에 문의하여 자세한 안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. 작은 관심만 기울여도 매달 상당한 금액을 절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.